집에서도 간단한 도구와 일상용품만 있으면 금의 진위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소개하는 8가지 방법을 통해 ‘진짜 금’과 ‘금도금(또는 가짜 금)’을 손쉽게 구별해 보세요.
1. 자석 테스트
가장 쉽고 빠른 예비 검사법입니다.
- 필요한 도구: 강력 네오디뮴 자석
- 방법: 테스트할 금 제품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갑니다.
- 결과 해석:
- 자석에 끌린다면 불순물이나 다른 금속(스테인리스·철 등)이 포함된 가짜일 확률이 높습니다.
- 전혀 반응이 없다면 진짜 금일 가능성이 큽니다.
2. 물 침수 테스트
금의 높은 밀도를 활용한 방법입니다.
- 필요한 도구: 투명 유리컵, 물
- 방법: 컵에 물을 채우고 금 제품을 살짝 떨어뜨려 봅니다.
- 결과 해석:
- 즉시 바닥으로 가라앉으면 진짜 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천천히 떠오르거나 수면에 머물면 금도금 혹은 가벼운 합금일 수 있습니다.
3. 식초(또는 레몬즙) 부식 테스트
산성 용액에 대한 금의 안정성을 이용합니다.
- 필요한 도구: 식초(또는 레몬즙), 작은 접시
- 방법: 금 제품 위에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리고 10~15분 방치합니다.
- 결과 해석:
- 색 변화나 부식 흔적이 없으면 진짜 금일 확률이 높습니다.
- 변색·부식이 일어나면 금 도금 또는 다른 금속 함량이 많은 조합금일 수 있습니다.
4. 세라믹 스크래치 테스트
도자기 표면에 남는 줄무늬로 확인합니다.
- 필요한 도구: 무광 세라믹 타일(유약 없는 것)
- 방법: 금 제품을 세라믹 타일 위에 가볍게 긁어 봅니다.
- 결과 해석:
- 금색 줄무늬가 남으면 진짜 금일 가능성 높음
- 검은색·회색 줄무늬면 가짜 금 혹은 도금 제품
5. 치아 테스트
영화에서 자주 보는 ‘물어뜯기’ 방식입니다.
- 주의: 치아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마지막 수단으로만 사용하세요.
- 방법: 금 제품을 살짝 물어봅니다.
- 결과 해석:
- 이빨 자국이 남으면 부드러운 순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국이 남지 않으면 합금된 금속이거나 가짜 금일 수 있습니다.
6. 무게(밀도) 테스트
보다 정밀한 물리적 검사법입니다.
- 필요한 도구: 저울(그램 단위), 물이 담긴 용기, 계산기
- 방법:
- 금 제품의 무게(건조 상태)를 잼
- 물 중량(부피)을 측정 후 무게 변화를 계산해 밀도를 구함
- 금의 표준 밀도(약 19.3g/cm³)와 비교
- 결과 해석: 일치에 가까울수록 진품일 확률이 높습니다.
7. 각인(홀마크) 확인
국제표준 또는 국가별 표기 확인으로 순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 흔히 볼 수 있는 표기: 24K·999·750·585·14K 등
- GP(금도금)·GF(금충전)·GEP(금전사) 표시는 도금 제품임을 의미
8. 산성(시약) 테스트
보석상에서도 쓰는 전문 검사법입니다.
- 필요한 도구: 금 속성별 산성 시약 키트, 테스트 스톤
- 방법: 금을 긁어낸 금속 시편에 각 농도의 산성 시약을 떨어뜨리고 반응 관찰
- 결과 해석: 산에 변색·용출 반응이 없으면 진짜 금, 반응이 빠르면 순도가 낮거나 가짜 금
위 8가지 방법을 조합해 사용하면 집에서도 전문가 수준의 금 진위 확인이 가능합니다. 간단한 예비 검사는 자석·물·세라믹 테스트로, 보다 정밀한 검사를 원한다면 밀도·시약 테스트와 각인 확인을 추가하면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마지막으로 치아 테스트는 치아 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활용하세요. 이러한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손해 없이 안전하게 ‘진짜 금’ 여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