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신고 시 필요 서류 정리

상속세 신고는 고인(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받은 상속인이 일정 기준을 넘는 상속재산에 대해 세무서에 신고·납부하는 절차입니다. 사망일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하며, 기한을 넘길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상속세 신고 시 필요 서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속세 신고 시 필요 서류 정리

아래는 상속세 신고를 위해 반드시 준비해야 할 주요 서류 목록입니다. 항목별로 누락 없이 챙겨야 빠르고 정확한 신고가 가능합니다.

1. 기본 서류

  • 상속세 신고서 및 첨부서류 목록표
    국세청 홈택스에서 출력하거나 세무서 비치용지를 사용
  • 피상속인 사망진단서(사망확인서)
    주민센터 또는 의료기관에서 발급
  • 가족관계증명서 및 기본증명서
    상속인 전원의 가족관계·기본증명서(주민센터 또는 인터넷 발급)
  • 상속인 주민등록등본
    주소·생년월일 확인용

2. 재산 관련 서류

가. 부동산

  • 부동산 등기부등본
    전국 등기소 또는 인터넷등기소 발급
  • 부동산 매매계약서·감정평가서(필요 시)
    시가 평가가 중요한 경우 활용

나. 금융자산

  • 예금·적금 통장 사본 및 거래내역서
    은행 발급(원본 지참 후 사본 제출)
  • 주식·펀드 거래내역서
    증권사 또는 금융투자협회 보고서
  • 보험가입증명서 및 해약환급금 산출내역서
    보험사 발급

다. 채권·채무

  • 대여금 계약서 또는 현금출납부
    고인과 개인·회사 간 채권·채무 관계 증빙
  • 신용카드 미청구금액·휴대폰 요금 미납 내역
    채무 성격의 비용 증빙

3. 기타 서류

  • 유언서(공정·자필·구수증 등)
    유언이 있는 경우 원본 제출
  • 상속포기·한정승인신청서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한 경우 법원 제출확인서
  • 기부금 영수증
    고인이 생전에 납부한 기부금 세액공제 확인용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1. 원본과 사본 구분: 원본 지참 후 세무서에서 복사본을 제출하고, 원본은 돌려받습니다.
  2. 날짜 일치 여부 확인: 주민등록등본·가족관계증명서의 발급일자가 신고일 기준 3개월 이내인지 체크하세요.
  3. 부동산 평가 시점: 사망일 기준 시가로 평가해야 하며, 감정평가서를 첨부하면 가산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속세 신고는 서류 준비부터 평가, 신고·납부까지 복잡할 수 있지만, 사전 준비와 체크리스트만 잘 활용해도 무리 없이 완료할 수 있습니다. 오늘 정리한 ‘상속세 신고 시 필요 서류’를 참고하여, 마감 기한 내에 누락 없이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도움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