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과 상품의 차이

제품과 상품은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기업의 제조·판매 활동, 회계 처리, 재고 관리 등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사업 모델을 설계하거나 재무제표를 해석할 때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두 용어의 정의부터 재무·회계상 차이, 실제 사례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품(Product)이란 무엇인가?

제품은 원재료를 가공·제조하여 완성된 형태의 재화입니다.

  • 자체 제조 공정: 원재료비·노무비·제조경비 등을 투입해 생산
  • 높은 부가가치: 제조 과정에서 부가가치 창출로 마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회계 계정: ‘제품매출원가’로 구분 관리

예시

  • 전자회사의 스마트폰
  • 베이커리의 구운 빵
  • 소프트웨어나 콘텐츠(디지털 형태 제품)

상품(Goods)이란 무엇인가?

상품은 외부에서 구매한 재화를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유통·도매 과정: 자체 제조 공정 없이 도매상·제조사로부터 매입
  • 낮은 마진율: 구매원가 위주로 가격 책정
  • 회계 계정: ‘상품매출원가’로 구분 관리

예시

  •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음료수
  • 의류 리테일러가 들여와 판매하는 브랜드 티셔츠
  • 유통사에서 납품받은 가전제품

제품과 상품의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제품상품
제조 주체기업 자체외부 제조업체
생산 과정원재료 → 제조 공정 → 완제품구매 → 매입 → 판매
원가 구조원재료비·노무비·제조경비구매원가
마진율상대적으로 높음상대적으로 낮음
회계 계정제품매출원가상품매출원가
재고 관리제조 중 재공품 관리 필요매입 후 완성품 형태만 관리

기업 운영에서의 활용

  1. 사업 모델 설계
    • 제조업: 제품 매출 비중을 높여 고마진 창출
    • 유통업: 상품 매출을 활용해 다양한 브랜드 취급
  2. 재고 및 원가 관리
    • 제품은 원재료→재공품→완제품 단계별 재고 관리 필수
    • 상품은 완제품 형태로 재고만 관리
  3. 회계·세무 처리
    • 제조업체는 ‘제품매출원가’로 원가를 인식
    • 도·소매업체는 ‘상품매출원가’로 원가를 인식

실제 사례

  • 제약회사
    자체 연구개발(R&D)로 생산한 신약은 ‘제품’으로 분류된다.
    반면 해외 제약사의 복제 의약품을 들여와 판매하는 물량은 ‘상품’으로 처리된다.
  • 전자기기 유통사
    소비자용 외산 가전을 매입해 판매하는 것은 전량 ‘상품’ 매출이며, 자사 브랜드로 조립·출시한 기기는 ‘제품’ 매출로 분류한다.

정리하자면 제품과 상품의 구분은 제조·유통 전략 수립과 재무제표 분석의 기본입니다. 제조 공정 참여 여부에 따라 원가 구조, 마진율, 재고 관리 방식이 달라지므로 기업은 두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