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요리에 빠질 수 없는 양념, 간장! 하지만 마트에 가면 진간장, 양조간장, 국간장 등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걸 골라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죠. 오늘은 진간장과 양조간장의 차이점, 구별법, 그리고 대표적인 요리 활용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진간장 vs 양조간장, 무엇이 다를까?
구분 | 진간장 | 양조간장 |
---|---|---|
제조 방식 | 전통적으로는 5년 이상 숙성, 시중 제품은 ‘혼합간장’이 대부분 | 콩, 밀 등으로 만든 메주를 미생물로 오랜 시간 발효 |
맛과 향 | 단맛과 감칠맛이 강하고, 짠맛이 상대적으로 약함 | 풍부한 향, 감칠맛, 단맛이 돌며, 짠맛은 국간장보다 약함 |
색 | 매우 진하고 어두운 갈색 | 진한 갈색 |
열에 대한 반응 | 열을 가해도 맛과 향이 잘 유지됨 | 열을 가하면 맛과 향이 약해짐 |
가격 | 대체로 저렴(혼합간장 기준) | 순수 양조간장은 상대적으로 비쌈 |
활용 요리 | 볶음, 조림, 찜 등 열을 가하는 요리 | 무침, 양념장, 드레싱, 소스 등 생으로 먹는 요리 |
- 진간장은 전통적으로 5년 이상 숙성한 깊고 진한 간장이었으나, 시중에서 파는 대부분의 진간장은 양조간장에 산분해간장(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분해해 만든 간장)을 섞은 ‘혼합간장’입니다. 이 때문에 열을 가해도 맛과 향이 잘 유지되어 볶음, 조림, 찜 등 다양한 한식 요리에 널리 사용됩니다.
- 양조간장은 콩과 밀을 주원료로 미생물 발효를 통해 만들어지며, 감칠맛과 풍미가 뛰어나고 단맛이 도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열을 가하면 맛과 향이 약해지므로, 주로 무침, 양념장, 드레싱, 회 소스 등 생으로 먹는 요리에 적합합니다.
구별하는 방법
- 라벨 확인:
- 제품 뒷면에 ‘혼합간장(진간장)’ 또는 ‘양조간장’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진간장은 대부분 ‘혼합간장’으로, 양조간장은 ‘양조간장’ 또는 ‘왜간장’으로 적혀 있습니다.
- 색상:
- 진간장이 더 진하고 어두운 갈색, 양조간장은 조금 더 밝고 투명한 갈색입니다.
- 향과 맛:
- 양조간장은 향이 더 풍부하고 달콤한 맛이 강합니다.
- 진간장은 감칠맛과 단맛이 더 깊고, 열을 가해도 맛이 잘 유지됩니다.
대표적인 요리 활용법
진간장 활용 요리
- 불고기, 제육볶음, 장조림, 갈비찜, 찜닭, 각종 조림류
→ 열을 오래 가해도 맛과 색이 살아있어 깊은 풍미를 더해줍니다. - 간장게장, 멸치볶음, 콩자반 등 밑반찬
→ 진한 색과 감칠맛으로 밑반찬의 맛을 한층 업그레이드.
양조간장 활용 요리
- 나물무침, 잡채, 샐러드 드레싱, 생선회 소스, 간장양념장
→ 풍부한 향과 감칠맛, 단맛을 살려줍니다. - 간장버터밥, 초밥, 튀김, 부침 디핑소스
→ 생으로 먹는 요리에 최적화.
“양조간장은 열을 가하면 맛과 향이 약해져 주로 소스류나 드레싱에 이용되고, 진간장은 열을 가해도 맛이 유지되어 볶음, 조림, 찜 요리에 사용하면 더욱 좋아요.”
한눈에 보는 간장 선택법
- 불을 쓰는 요리(조림, 볶음, 찜) → 진간장
- 불을 쓰지 않는 요리(무침, 양념장, 소스) → 양조간장
- 국물 요리(맑은 국, 나물 등) → 국간장(참고)
마트에서 간장 고를 때 팁
- 제품 라벨의 ‘식품유형’ 확인:
‘혼합간장’인지 ‘양조간장’인지 반드시 체크! - TN(총 질소) 지수 확인:
숫자가 높을수록 천연의 맛 성분이 많아 풍미가 좋음. 1.0% 이상(표준), 1.3% 이상(고급), 1.5% 이상(특급).
정리하자면 진간장과 양조간장은 제조법, 맛, 향, 그리고 요리 활용법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요리의 종류와 목적에 맞는 간장을 선택하면 집밥의 맛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