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 저항 측정법 실무에서 활용해보자

전기설비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작업 중 하나가 바로 ‘접지’입니다. 접지는 누전이나 낙뢰 등으로부터 사람과 장비를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입니다. 하지만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오히려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접지 저항을 측정해 그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접지 저항이란 무엇인지, 왜 측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측정하는지 최신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접지 저항이란?

접지 저항이란, 접지선과 대지(땅)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저항값을 의미합니다. 이 값이 낮을수록 전류가 안전하게 대지로 흘러가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0Ω(옴)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상황에 따라 기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접지 저항을 측정해야 하는 이유

  1. 감전 및 화재 예방
    접지 저항이 높으면 누전 시 전류가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해 감전이나 화재의 위험이 커집니다.
  2. 설비 보호
    전자기기나 설비가 낙뢰 등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3. 법적 기준 준수
    전기설비 기술기준 등 관련 법령에서 정기적으로 접지 저항을 측정하고 기준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접지 저항 측정 방법

1. 측정 전 준비사항

접지 저항 측정 어스테스터
  • 측정기기 준비
    대표적으로 ‘접지저항계(어스테스터)’를 사용합니다.
    접지봉이 설치된 지점과 주변 환경(습도, 토양 상태 등)을 확인합니다.

2. 3극식(3-Point) 측정법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측정 방법:

  1. 접지저항계의 3개의 단자를 각각
    • E(접지극): 측정할 접지봉에 연결
    • P(전압측정극): 접지봉에서 5~10m 떨어진 곳에 설치
    • C(전류측정극): P극에서 다시 5~10m 떨어진 곳에 설치
  2. 각 극을 땅에 박고, 접지저항계에 연결합니다.
  3. 측정기를 작동시키면 저항값이 표시됩니다.

팁:

  • 측정극(P, C)은 직선상에 설치해야 하며, 주변에 금속 구조물이나 전선이 없도록 주의합니다.
  • 측정값이 불안정하다면, 측정극의 위치를 조금씩 조정해보세요.

3. 클램프식 측정법

최근에는 클램프형 접지저항계도 많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별도의 보조극 설치 없이, 접지선에 클램프를 물려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단, 병렬 접지(여러 접지선이 연결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측정 시 주의사항

  • 비가 오거나 토양이 너무 건조할 때는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가능한 한 표준 환경에서 측정하세요.
  • 측정기기의 배터리, 케이블 상태를 항상 점검하세요.
  • 측정값이 기준치(예: 10Ω)보다 높을 경우, 즉시 접지 보수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접지 저항 측정은 전기 안전의 기본입니다.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이상이 있을 땐 즉시 조치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설비의 안전, 그리고 내 가족과 동료의 안전을 위해 오늘 한 번 접지 저항을 점검해보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더 자세한 실무 팁이나 최신 측정기기 정보도 앞으로 계속 소개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