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속도 측정 방법 (측정 결과 보는 법)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컴퓨터의 속도와 반응성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내 PC의 SSD가 제대로 성능을 내고 있는지, 혹은 업그레이드나 교체가 필요할지 궁금하다면 직접 속도를 측정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오늘은 SSD 속도 측정 방법과 대표적인 무료 프로그램, 그리고 측정 결과를 해석하는 팁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대표적인 SSD 속도 측정 프로그램

1. CrystalDiskMark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료 SSD 벤치마크 툴입니다.
  • 순차 및 랜덤 읽기/쓰기 속도를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사용법이 매우 간단해 초보자도 쉽게 쓸 수 있습니다.

2. EaseUS Partition Master

  • SSD의 읽기/쓰기 속도뿐 아니라, I/O 속도, 지연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사용자가 결과를 저장할 수 있어 여러 SSD를 비교하기에 좋습니다.

3. AS SSD Benchmark

  • SSD의 실제 사용 환경에 가까운 테스트를 제공합니다.
  • 비압축 데이터 전송 속도 측정에 강점이 있습니다.

4. ATTO Disk Benchmark

  • 다양한 블록 크기와 대기열 깊이로 SSD의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CrystalDiskMark로 SSD 속도 측정하기

가장 많이 쓰이는 CrystalDiskMark를 예로 들어 사용법을 안내합니다.

  1. CrystalDiskMark 다운로드 및 설치
    • 공식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설치합니다.
  2. 프로그램 실행 및 드라이브 선택
    • 실행 후, 측정하고 싶은 SSD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3. 측정 옵션 설정
    • 테스트 횟수(기본 5회), 측정 용량(기본 1GiB), 표시 단위(MB/s 등)를 확인합니다.
  4. ALL 버튼 클릭
    • ‘ALL’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여러 항목의 읽기/쓰기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5. 결과 해석
    • SEQ1M Q8T1: 순차 동시 읽기/쓰기(대용량 파일 복사 시 속도)
    • SEQ1M Q1T1: 순차 단일 읽기/쓰기(일반 파일 복사 시 속도)
    • RND4K Q32T16: 랜덤 동시 읽기/쓰기(작은 파일 다수 처리 시 속도)
    • RND4K Q1T1: 랜덤 단일 읽기/쓰기(일상적 소규모 작업 속도)
    • 일반적으로 SEQ1M Q8T1 수치가 SSD 스펙에 표기된 공식 속도와 가장 유사합니다.

윈도우 기본 기능으로 SSD 속도 측정하기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윈도우에서 간단히 SSD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다음 명령어 입력
    • winsat disk -ran -write -drive [드라이브 문자] 예시: winsat disk -ran -write -drive C
  • 결과로 초당 전송 속도(MB/s)가 출력됩니다.

측정 결과, 어떻게 해석할까?

  • 읽기/쓰기 속도가 SSD 제조사에서 밝힌 스펙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정상입니다.
  • SATA SSD는 보통 500MB/s 내외, NVMe SSD는 2000~7000MB/s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 측정값이 너무 낮다면, 드라이버 문제, SSD 수명 저하, 포트 연결 문제 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정리

  • CrystalDiskInfo 등으로 SSD의 건강 상태, 온도, 사용 시간 등을 체크해보세요. 속도 저하가 노후화 때문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SSD 속도 측정은 생각보다 쉽고, 무료 도구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CrystalDiskMark나 EaseUS Partition Master, AS SSD 등 대표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활용해 내 SSD의 성능을 점검해보세요. 측정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SSD 상태 점검과 함께 업그레이드도 고민해볼 수 있습니다.